문화와 풍토가 언어를 뒷받침한다
여기서 다시금 왜 인공언어에는 문화와 풍토가 필요한지를 살펴봅시다.
예컨대 일본어에서 쌀과 벼는 별개이지만 영어로는 양쪽 다 rice라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누나와 여동생은 구별하지만 영어로는 보통 양쪽 다 sister라고 합니다.
rice의 예는 일본이 쌀을 주식으로 삼는 문화・풍토이고 영어를 키워낸 영국이 반농반목의 문화・풍토였다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sister의 예는 일본이 장유를 중시하는 엄격한 연공서열 문화인데 대해 영국이 그렇지 않은 것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바다에 둘러싸이고 여름에 온도가 올라가며 대량의 비가 내립니다. 바로 그러한 풍토이기 때문에 일본의 쌀 문화가 있고 rice가 세분화되었습니다.
반대로 목축을 했기 때문에 영국에서 소는 cow, ox 등으로 세분화됩니다.
이러한 언어예는 문화와 풍토가 관련되어 있습니다. 만약 문화와 풍토가 없다면 이러한 언어예는 설명할 수 없습니다.
문화와 풍토가 없으면 쌀이라는 작물을 어디까지 세분화해야 할지 결정할 수 없습니다. 그러한 이유 때문에 언어에는 문화와 풍토가 필요한 것입니다.
인공언어를 만들 때 쌀이나 여동생이나 소와 같은 단어는 당연히 만들 것입니다.
하지만 그 언어가 쓰이는 문화와 풍토가 없다면 단어가 의미하는 범위를 확정할 수 없습니다.
문화가 없으면 여동생은 여동생인 채 놔둬도 될지 아니면 자매로 묶어야 할지 같은 판단을 할 수 없습니다.
이 점에서 인공언어는 문화와 풍토를 필요로 합니다.
자연언어에는 자연문화와 자연풍토가 자동적으로 딸려 있지만 인공언어는 그렇지 않습니다.
원래 존재하지 않는 데에서 언어를 만들었기 때문에 딸려오는 문화・풍토가 없습니다.
이에 인공언어는 문화・풍토를 조달하게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