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명사
에에, 이번에는 대명사입니다.
‘나’라든가 ‘당신’이라든가 ‘그’라든가 ‘이것’등 말이지.
뭔가 카오스하다고 했는데 필요한 부분만 뽑아 줘 봐.
먼저 살아있지 않은 건 뭐라고 해?
그러니까 ‘이것’이나 ‘그것’ ‘저것’ 같은 거.
‘이것’은 tu고 ‘저것’은 le야.
‘그것’은 없어. this와 that밖에 없는 영어와 마찬가지지.
tu와 le란 말이지. 아, tu는 전에 했었지.
그럼 살아있는 건? ‘나’라든가.
‘나’는 an이고 ‘당신’은 ti야.
‘그’와 ‘그녀’는 구별하지 않으니까 남자든 여자든 lu라고 해. “lu et xion"으로 ‘그녀는 시온입니다’가 돼.
단 lu는 눈앞에 있는 가까운 사람을 가리켜. 멀리 있는 사람은 la라고 해.
말하자면 같은 ‘그, 그녀’라도 ‘이 사람’이 lu고 ‘저 사람’이 la가 되는구나.
tu(이것)와 le(저것)의 차이가 생물에도 있다는 거네.
딱히……아직까지는 카오스해 보이지 않는데.
아, 알았다. 영어나 독일어처럼 ‘내가’ ‘나의’ ‘나를’ ‘나의 것’ 같은 게 잔뜩 있는 거지?
있잖아, I, my, me, mine 같은 거.
아니. 아르카에는 I와 my밖에 없어.
me는 I와 같이 an으로 나타내고, my와 mine은 같은 ant라는 형태니까.
‘나’와 ‘나의’, ‘당신’과 ‘당신의’, ‘그’와 ‘그의’, ‘이것’과 ‘이것의’처럼 2가지씩 있어. 표로 만들게.
나 |
an |
나의 |
ant |
당신 |
ti |
당신의 |
tiil |
이 사람(그) |
lu |
이 사람의 |
luut |
저 사람(그) |
la |
저 사람의 |
laat |
이것 |
tu |
이것의 |
tuul |
저것 |
le |
저것의 |
leet |
기본적으로 l이나 t로 끝나는 게 많은 것 같네.
확실히 규칙적이지 않으니까 외우기 힘들지만 영어의 I, my, me, mine보다는 편하니까 딱히 카오스해 보이지는 않는데…….
실은 여기서 든 것은 가장 중립적인 말투야.
be동사의 부정에서 ‘여자아이는 de 대신 te를 쓴다’고 했었지?
아르카는 누가 말하냐에 따라 말투가 확 바뀌는 언어거든.
그리고 그 차이는 대명사에 가장 많이 나타나. 예를 들어 여자아이의 경우 위 표는 다음과 같이 돼.
나 |
non |
나의 |
noan |
당신 |
tyu |
당신의 |
tuan |
이 사람(그) |
lu |
이 사람의 |
luut |
저 사람(그) |
la |
저 사람의 |
laat |
이것 |
tu |
이것의 |
tuul |
저것 |
le |
저것의 |
leet |
과연. 캐릭터에 따라 대명사가 바뀌는구나.
그런데 잘 보면 ‘나’와 ‘당신’의 단밖에 안 바뀌었는데?
여자 중에서도 자기를 non이라고 부르는 건 나나 시온 같은 사람이고, 사람에 따라서는 yuna라고 하거나 noel이라고 하기도 해.
남자도 성격에 따라 말투가 다른데다가 ‘중성적인 사람’이나 ‘생명을 가진 사물’에까지 고유의 대명사가 있어서 다 합치면 무려 12종류나 있어.
참고로 아르카 최대의 좌절점이 이쪽에 있는 대명사 표…….
뭐야 이거!? Σ(゜ロ゜;)
사람에 따라 완전히 대명사가 다르네……. 그 사람의 캐릭터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편리하지만.
게다가 대명사에는 복수형도 있어. ‘우리들’은 ans이고 ‘우리들의’는 antes가 되는 등…….
당연히 이것들도 캐릭터에 따라 말하는 법이 달라져. 예를 들면 얌전한 여자아이의 경우 ‘우리들’은 lena고 ‘우리들의’는 lenan이 돼.
뭔가……카오스의 일각이 보이는 것 같은(; ̄ω ̄)ゞ
뭐 실제로는 an계열과 non계열을 알고 있으면 충분하니까 저 표는 외울 필요 없지만서도.
다만 방금 시온이 말한 것처럼 이 풍부한 대명사 덕분에 개성이 언어에 나타난다는 건 확실해.
문화란 언어에 드러나는 법이구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