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구조

soonoyun, 실천편 2회차입니다. 환일사전을 사용해 아르카를 술술 독해하는 강좌를 진행 중이에요.
자, 바로 환일사전을 열어서 aav라고 검색해 보아요.
----
[명사] 사슬, 체인
[동사] yul을 사슬로 감다, 잇다
[메타포] [명사] 묶어서 이어두는 것
rd;raavyu.a.xik
13:고raavyu(사슬)
raabyu:raavyu:kolett
[문화]
보통은 금속제. 친숙한 사슬은 목걸이 부품이나 출입금지에 쓰이는 사슬.
【관용구】
yun aav 줄줄이
【용례】
aav oma a nial 개를 사슬로 묶어 두다
gil at aav soven la tianal. 저 두 사람의 연애관계는 돈에 의한 것이었다.
diretan fosat yu yun aav 범인이 줄줄이 잡혀들어갔다.
----

[명사]나 [동사] 같은 건 품사 태그지?
aav는 사슬이라는 뜻이구나. 그리고 동사로써 사용하면 ‘사슬로 잇다’라는 뜻이 되는 거고.
마지막의 ‘묶어서 이어두는 것’이라는 건?

예를 들어 내가 여기에 있는 것은 시온의 친구이기 때문이잖아?
나를 여기에 묶어두는 것은 ‘우정’인데, 이를 비유적으로 나타낼 때 aav라고 할 수가 있어.
참고로 단어의 뜻은 빈도가 높거나 그 단어의 본래적인 뜻이 맨 처음에 오도록 되어 있어.
그래서 ‘묶어서 이어두는 것’은 뒤쪽에 나와 있는 거야.

쓰기 편하네.
그 다음의 두 줄은 뭘까. ‘rd’라거나 ‘13’이라거나 ‘고’라거나…….

여기는 어원란이야.
그 단어가 언제 어떤 경위로 만들어졌는지가 적혀 있어.

어원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다룰 거야. 어려우니까 지금은 건드리지 않을게.
참고로 그 아래의 raabyu:raavyu:kolett는 역어란이라고 해.
왼쪽부터 차례로 필리아-필베유어, 류디아-아르바자드어, 시지아-루티아어야.

그렇게 말해도 모르겠지(^-^;
앞의 두 개는 아르카의 모체가 된 고어이고 루티아어는 아르바자드에 계속 강하게 영향을 준 나라의 언어야. 한국어로 치면 영어나 한자 같은 거지.
말하자면 사슬은 아르카로는 aav지만 루티아어로는 kolett라고 한다는 뜻이야. 알아두면 다른 단어를 외울 때 도움이 될 거야.

그렇구나. 그리고 다음은 [문화]란이네. 이런 부분은 읽다 보면 재미있어.
나머지는 【관용구】와 【용례】네.

[문화] 앞에 [어법]란이 오는 경우도 있어.
명사가 가리키는 범위나 어떤 동사와 함께 쓰는지 같은 단어의 사용법이 쓰여 있어.

으음. 어원·역어란을 경계로 위가 품사정보고 아래가 [어법] [문화] 【관용구】 【용례】 정보인 셈이구나.
깔끔해서 읽기 편하네. 전자사전이니까 글자도 빽빽하지 않아 눈에 잘 들어오고.
사전 사용법은 알았어. 고마워. 다음은 예문을 읽는 방법을 가르쳐 줘☆
|